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선거 앞둔 단체장들, 어린이보호구역 주정차 단속 기피"

교육계 핫 이슈

by 호남교육신문 2021. 11. 15. 09:08

본문

728x90
반응형

김익주 광주시의원, 교통사고 요인 줄이기 위한 공용주차장 확보 필요
"어린이보호구역내 불법 주정차 단속 매년 수 만건 달해"

지난달 21일부터 어린이보호구역내 주·정차 전면 금지가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학부모, 주민 등 이해관계자에 의한 각종 민원이 속출하고 있지만 내년 선거를 앞둔 단체장들이 단속을 기피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 어린이보호구역내 교통사고가 끊이지 않아 2019년에는 20건이 발생해 23명이 다쳤고, 2020년에는 16건이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김익주 광주시의원(사진)은 광주광역시 교통건설국 행정사무감사에서 "교통사고 발생 요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불법 주·정차로 인해 운전자와 어린이들의 시야가 가려져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어린이보호구역 전 지역내에 주정차 단속카메라를 조속히 설치해 줄 것"을 주문했다.

광주시가 제출한 어린이보호구역내 불법주정차 단속현황에 따르면 2019년 43,531건, 2020년 38,169건 2021년 8월말 기준 24,229건이 단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고정형 단속카메라에는 2019년 31,053건, 2020년 24,699건 2021년 8월말 기준 15,857건이 적발됐다.

이동차량 단속건수는 2019년 8,873건, 2020년 9,638건, 2021년 8월말 기준 6,824건이다. 특히 서구청의 경우 이동차량 단속건수가 2019년 24건, 2020년 1건, 2021년 8월말 기준 2건에 그쳤다.

한편, 광주시 어린이보호구역은 동구 52개소, 서구 103개소, 남구 75개소, 북구 170개소, 광산구 187개소로 총 587개소가 지정됐지만 주정차 단속카메라는 지정 대비 18%인 109개소에만 설치된 것으로 밝혀졌다.

김 의원은 "어린이보호구역내 불법주정차 단속이 매년 수 만건에 달한다는 것은 그만큼 어린이들의 교통사고로 직결될 우려가 크다는 것"이라면서 "사고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운전자들의 시민의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고정형 단속과 병행해 이동식 단속을 강력하게 실시해 어린이 보호구역내 불법 주정차를 뿌리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의원은 "선출직 단체장들이 선거를 앞두고 민원에 대한 두려움때문에 단속을 기피하는 것은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포기하는 것이나 진배없는 것"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밖에도 김 의원은 어린이보호구역 주변에 공용주차장 확보와 함께 안전표지 설치나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 규정에 맞는 노면표시 등을 주문했다.

그는 이어 "어린이가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전까지는 어른들의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하다"며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운전자가 어린이들의 보호자이자 지킴이라는 인식을 갖고 각별하게 주의운전을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